|
|
|
|
 |
|
 |
|
|
|
 |
[전자책] 충무공 리순신, 대한민국에게 고함 / 최두환 |
 |
|
|
|
|
분류 |
전자책 > 시 |
등록일 |
2013년 11월 15일 |
판매자 |
tchoydh |
구매 (결제미결건 포함) |
3건 |
조회수 |
2,790회 |
자료번호 |
#0000666 |
가격 |
5,000원 |
|
 |
|
|
 |
|
 |
 |
키워드 : 최두환, 충무공, 리순신, 대한민국, 고함 |
|
기본정보 |
|
|
컬러 |
사이즈 |
DPI |
제작툴 |
형식 |
판매가 |
파일크기 |
정보없음 |
600 * 900 |
정보없음 |
정보없음 |
ZIP |
5,000원 |
532Byte |
상세이미지 |
|
상세설명 |
|
|
◑ 이 책은 전자책으로, 구매(결제)시 바로 열람이 가능합니다.
------------------------------------------------------------
충무공 리순신, 대한민국에게 고함 최두환 지음 (전자책) / 한국문학방송 刊
바다는 양보할 수 없는 땅이다. 바다는 발을 딛고 사는 땅만큼 중요하며, 반드시 지켜야 하는 생활의 터전이요, 생명줄이다. 리순신은 조국의 땅을 지켜냈듯이 바다도 함께 지켜냈다. 아시아=조선의 바다는 참으로 넓다. 지금 대한민국의 바다는 동경 120° 이동쪽에서 동경 135° 이서쪽에 있는 반도이지만, 이 반도에서 동남서쪽 어디로든 바다로 나가면 그 바다는 너무도 넓어서 춤이 덩실덩실 추어진다. 조선의 바다는 천하의 중심인 황해(黃海: 중국)에서부터 동쪽에 청해(靑海), 남쪽에 홍해(紅海), 서쪽에 백해(白海), 북쪽에 흑해(黑海)가 있고; 넓은 바다로 보면, 1834년에 지은 최한기(崔漢綺)의 『지구전도』에 있듯이, 동쪽에 대동양(大東洋), 남쪽에 태평양(太平洋), 서쪽에 대서양(大西洋), 북쪽에 빙양(氷洋)이 있다. 이렇게 넓은 바다가 모두 조선을 중심으로 하여 사방으로 펼쳐져 있어 갇힌 바다에서 열린 바다로 배를 띄우지 않을 수 없다.
이런 개념에서 보면, 『조선왕조실록』에서 볼 수 있는 현상 가운데 동양과 서양, 아시아와 유럽 내지 아프리카로 구분하는 동경 30° 이서쪽에서 일어난 일식현상을 조선의 임금과 백성들이 보았다고 하며, 게다가 그런 일식현상을 실제로 보고 구식례(救蝕禮)까지 하였던 사실을 이제야 쉽게 납득할 수가 있다. 리순신께서도 일식을 기록하셨다. 싸워서 이길 묘안을 하늘에서 찾았는지도 모른다. 특히 리순신은 싸워 이길 비결을 바다와 전투함에 두었다. 그것이 거북함[龜艦]이다. 누구도 범접하지 못할 새로운 무기체계를 창안하여 운용하였기에 왜적과 싸워 이겼던 것이다. 전략적 식견이 풍부하기에 가능하다. 그래서 리순신께서 남긴 『난중일기』와 『임진장초』를 중심으로 싸움마다 이겼던 비결이 무엇인지를 밝혔으며, 견내량해전과 안골포해전에서 맞서 싸웠던 적군의 장수 와키자카 야스하루[脇坂安治]마저 리순신을 죽이지 못한 원한을 가졌지만, 진심으로 존경하며 차라도 한잔 나눠 마시고 싶은 인물이라고 했던 말을 마음 한켠에 담아보며, 리순신의 그 탁월한 비결을 이제 우리가 배워서 본받고서 미래로 나아가고자 한다. 이제 밀린 오래된 어려운 숙제를 마쳤다. 임진왜란의 성격을 새롭게 조명한 『충무공 리순신, 대한민국에게 고함』은 우리나라의 미래지도자를 위한 가장 값진 전략이 담겨있는 무적의 전함이요, 항공모함이다. 미래지도자들은 이 항공모함을 타고 미래를 대비하여 잘 운용할 것을 희망한다. - 최두환, <서문> 중에서
- 차 례 -
축사 | 역사의 현장을 돌아보며_박선호 추천사 | 발화점을 넘어 서서_강길중 머리말 | 미래를 위한 제언_최두환 항해, 부두의 뱃줄을 다시 풀며_최두환 일러두기 제1장 충무공 리순신이 왜 필요한가 1. 리순신의 전략?전술을 무엇 하려고 연구하는가 2. 이 시대에 필요한 전략?전술의 모델은 3. 리순신의 생애, 전략사상 형성의 배경 (1) 리순신의 성장의 터전 (2) 해군의 최초생활 발포만호와 파란의 벼슬 (3) 전라좌수사에 임명과 임진왜란 (4) 마지막 전투와 전사 ♣ 새롭게 보는 조선 팔도 - 리순신과 류성룡은 동향 - 선조와 신종(만력 황제)은 동일인 제2장 바다에서의 전략과 전술은 1. 전략·전술의 개념 (1) 전략이란 (2) 전술이란 (3) 전투력은 전략전술의 전체집합 2. 해양전략적 환경 (1) 해양력(maritime power)의 기능 (2) 해양전략의 요소 (3) 현대 해양전략에서 본 임진왜란 3. 동양에서의 전략?전술은 어떤 것인가 (1) 무경칠서(武經七書) (2) 『병장설(兵將說)』 및 『진법(陣法)』 (3) 『기효신서(紀效新書)』를 임진왜란에 적용 ♣ 새롭게 보는 조선 팔도 - 충무공 리순신 관련 문헌 - 지명 관계 문헌 제3장 임진왜란 직전의 방위전략(防衛戰略)은 1. 조선의 국가방위 체제의 개념 (1) 오위도총부와 비변사 및 훈련도감 체제 (2) 진관체제(鎭管體制)의 붕괴 (3) 제승방략(制勝方略)의 대두 2. 조선의 무기체계는 어떤 것인가 (1) 거북함[龜艦]과 판옥선(板屋船) (2) 화기(火器)의 성능과 변화 (3) 대형 화기 (4) 소형 화기 3. 해전의 특성과 임진왜란 통사(通史) (1) 해전의 특성 (2) 임진왜란의 특성 (3) 임진왜란 통사(通史) ♣ 새롭게 보는 조선 팔도 - 일본군의 선봉에는 포르투갈인 - 원숭이와 흑인이 싸운 임진왜란 제4장 리순신이 살았던 시대의 환경 1. 혹세무민과 해금(海禁) 정책 (1) 조공(朝貢) 강화와 개인무역 활동 통제 (2) 북로남왜(北虜南倭)의 근심 (3) 견아상제와 순망치한의 국방개념 (4) 조정의 부정부패(不正腐敗) 2. 주변국들만의 무역활동과 일본의 통일 (1) 유럽의 동방진출과 무역 (2) 중국 동부 및 남부의 해안지역과 일본의 무역 (3) 일본의 전국(戰國) 통일과 조공 요구 3. 이소사대(以小事大)에 바쁜 조선의 정치 (1) 왜란은 훨씬 벌써부터 진행되고 있었는데 (2) 통신사의 일본파견과 임금 앞에서 허위보고 (3) 일본의 선전포고와 조선의 태도 ♣ 새롭게 보는 조선 팔도 - 선조 황제와 제후 소경왕 -『해유록』으로 본 일본의 위치 제5장 임진왜란과 리순신의 7대첩 1. 아직도 끝나지 않은 전쟁, 그 임진왜란 2. 리순신의 7대첩 (1) 옥포대첩 (2) 사천대첩 (3) 한산대첩 (4) 당항포대첩 (5) 부산포대첩 (6) 명량대첩 (7) 노량대첩 3. 세계사에서 본 리순신의 해전 ♣ 새롭게 보는 조선 팔도 - 리순신의 적벽 대전 - 호남의 풍토병 장기/장독 제6장 리순신의 해전에서의 승리 비결 1. 리순신의 해양 사상 (1) 리순신의 대적관(對敵觀) (2) 대륙전략적 사상 (3) 해양전략적 사상 2. 리순신이 실행한 5단계 전략 (1) 강약점과 위기관리[SWOT]의 전환전략 (2) 하나의 존재가치 전략 : 현존함대전략 (3) 너와 나의 협력 전략 : 동맹군·연합군과의 작전 (4) 우리 모두의 총력전략 : 결전전략 (5) 비전의 만전전략 : 길목차단 전략 3. 결정적 승리로 이끈 전술 (1) 거북함을 선봉에 세운 돌격 및 당파 전술 (2) 대포를 이용한 함포 전술 (3) 장사진으로 치고 빠지기[Hit & Run] 전술 (4) 학익진으로 화력집중 공격 전술 (5) 수륙합동 공격 전술 4. 현대 전쟁원칙에서 본 리순신의 전쟁원칙 (1) 목표의 원칙 (2) 집중의 원칙 (3) 공세의 원칙 (4) 기동의 원칙 (5) 지휘일원화(=통합)의 원칙 (6) 기습의 원칙 (7) 준비와 이용의 원칙 (8) 사기의 원칙 (9) 경계와 정보의 원칙 (10) 심리전―역정보의 원칙 ♣ 새롭게 보는 조선 팔도 - 임진왜란 당시의 총통/신기전 재현 - 대마도는 우리나라 땅
제7장 리순신의 전략·전술에 벤치마크 1. 수군과 육군 그 어느 하나도 없애서는 안 된다 2. 우리나라 땅, 한 움큼의 흙도 소홀히 하지 말라! 3. 길목을 차지하고 유리한 위치를 선점하라! 4. 파이를 키우고 상승효과를 노려라! 5. 발명가 정신으로 개척하여 최고 전문가가 되라! 6. 적을 가벼이 보지 말라! 7. 적선을 멀리 보고 즉시 보고하라! 8. 꾀어내어 쳐부숴라! 9. 우리에겐 아직도 12척이나 남아 있습니다 10. 사람의 마음을 움직여라! ♣ 새롭게 보는 조선 팔도 - 조선의 차문화와 리순신 - 리순신의 전사(戰死)에 대하여 제8장 밝은 미래를 위하여 1. 조선의 서쪽 끝은 독일의 ‘알레마니아’ 지방 2. 조선시대 “이오로(伊吾盧) 전투”의 력사적 의미 3. 남-지나해 무역선을 조선수군이 포격한 당포해전 4. 풍신수길 일당을 현상수배한 왜적 방어한 지역 5. 리순신 전략?전술이 우리에게 주는 의미 ♣ 새롭게 보는 조선 팔도 - 중앙아시아 중심지가 고구려·백제·신라의 격전지 -『산해경』으로 본 조선의 지리적 위치 에필로그 | 최두환 박사의 새롭게 용솟음치며 살아있는 역사관을 보며_채윤기 발문 | 꿈과 희망을 주는 미래의 약속을 지금 실천하는 길잡이_리창욱
참고문헌

[2013.09.27 발행. 1031쪽. 정가 5천원(전자책)] |

위 정보및 게시물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보증하지 아니하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위 정보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전재및 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요소 발견시 하단의 저작권 침해신고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
------------------------------------------------------------------------------------------------------------------------------------
[전자책(단행본) 출간 작가 베스트 39]
(작가명을 클릭하면 별도 창으로 열립니다)
(2024.08.14 기준 / 전체 전자책 출간작가 355인, 전제 출간 종수 1,800여종 중 '베스트 32')
 이옥천 시인 83종 출간 |
 최두환 작가 65종 출간 |
 김은자 수필가 64종 출간 |
 이철우 시인 44종 출간 |
 황장진 수필가 43종 출간 |
 김연하 시인 34종 출간 |
 이영지 시인 34종 출간 |
 최선 작가 34종 출간 |
 이정님 작가 24종 출간 |
 김여울 작가 24종 출간 |
 김사빈 작가 22종 출간 |
 송귀영 시인 22종 출간 |
 김순녀 소설가 19종 출간 |
 변영희 소설가 19종 출간 |
 권창순 작가 18종 출간 |
 이규석 수필가 18종 출간 |
 최택만 작가 17종 출간 |
 김진수 소설가 16종 출간 |
 이정화 시인 15종 출간 |
 예시원 시인 15종 출간 |
 손용상 소설가 14종 출간 |
 정송전 시인 14종 출간 |
 정선규 작가 14종 출간 |
 양봉선 동화인 13종 출간 |
 류준식 시인 13종 출간 |
 이기은 시인 12종 출간 |
 류금선 작가 12종 출간 |
 민문자 작가 12종 출간 |
 최원현 수필가 11종 출간 |
 문재학 시인 11종 출간 |
 이병두 시인 10종 출간 |
 이국화 작가 10종 출간 |
 김승섭 작가 10종 출간 |
 이효녕 작가 10종 출간 |
 배수자 시인 11종 출간 |
 이창원(법성) 시인 10종 출간 |
 김용필 소설가 10종 출간 |
 노중하 시인 10종 출간 |
 이정승 소설가 10종 출간 |
|
|
|
|
⊙ DSB 한국문학방송 전자책 출간 안내
|
|
|
|
한국문학방송 전자책 원고(작품) 접수는 poet@hanmail.net 으로 하시면 됩니다.
문학방송은 지금까지 전자책을 1,450종 남짓 출간하였으며, 판매수익금의 80%를 인세로 드리며 매달 지급정산하고 있습니다.
출간비는 기본분량(시의 경우 최대 100편) 범위내에서 30만원(초과 1편당 2천원씩 추가)입니다. 수필은 최대 40편이 기본 출간비이며 1편 초과당 5천원씩 추가됩니다.
소설은 최대 300페이지까지가 기본출간비이며 100페이지 초과당 7만원씩 추가 됩니다. 원고를 메일로 보내시면 출간계약서와 출간비 입금계좌를 알려드립니다.
출간비를 입금하시면 정식으로 접수가 되어 출간절차가 진행될 것입니다.
전자책 발간완결후에는 필요시(작가님 선택적으로) 종이책도 출간(최소 10권부터 소량으로)해드립니다. 종이책은 출간진행비(기본)가 1책당 7만원이며 문학방송으로
납부하시면 되고, 인쇄비(110쪽 기준 1부당 5천원 내외)는 인쇄소로 납부하시면 됩니다. 전자책 후속 종이책은 지금껏 450종 정도를 출간하였습니다.
혹시 더 궁금한 점이 있으시면 언제든 연락주시기 바랍니다(010-5151-1482 / poet@hanmail.net).
한국문학방송 전자책 미리보기는 아래 링크를 클릭해서 각 전자책 소개글의 제일 아래부분에 미리보기편 링크가 있는데, 그걸 클릭하시면 됩니다.
[북&매거진 코너] http://dsb.kr/section.php?thread=12
전자책 출간시 홍보는 유튜브에 미리보기편을 게시하고, (인터넷신문)한국문학방송, 한국사랑N, 서울오늘신문, 네이버와 다음포털의 블로그와 카페 등에 책소개를 올립니다.
|
|
|
|
| |
|
|
|
------------------------------------------------------------------------------------------------------------------------------------
[전자책(단행본) 전체 작가(무순)] (작가명을 클릭하면 관련 도서 또는 영상강좌 리스트가 별도 창으로 열립니다)
 강호인 시인 |
 위맹량 시인 |
 김경희 시인 |
 김관형 시인 |
 김대식 시인 |
 김수창 시인 |
 김성조 시인 |
 김지향 시인 |
 김진수 소설가 |
 김영월 시인 |
 박덕규 시인 |
 김형출 시인 |
 김혜영 시인 |
 문태성 시인 |
 박봉환 작가 |
 박승자 시인 |
 박인혜 시인 |
 변영희 소설가 |
 손용상 소설가 |
 안재동 시인 |
 윤재천 수필가 |
 윤정옥 소설가 |
 이규석 수필가 |
 이성이 시인 |
 이아영 시인 |
 이영지 시인 |
 이재식 시인 |
 이정님 시인 |
 이정모 시인 |
 이정이 시인 |
 이국화 시인 |
 전민정 시인 |
 전성희 시인 |
 정송전 시인 |
 조남명 시인 |
 최두환 시인 |
 최원철 시인 |
 허용회 시인 |
 이덕상 시인 |
 한봉전 수필가 |
 김상희 시인 |
 정해철 시인 |
 김인태 시인 |
 최진연 시인 |
 맹숙영 시인 |
 임선희 화가 |
 김철기 시인 |
 남진원 시인 |
 김용만 소설가 |
 정명숙 시인 |
 한금산 시인 |
 문재학 시인 |
 장대연 시인 |
 최인찬 시인 |
 성종화 시인 |
 김성열 시인 |
 최용현 수필가 |
 이재천 시인 |
 전산우 시인 |
 황장진 수필가 |
 배학기 시인 |
 조숙 수필가 |
 정선규 시인 |
 김용필 소설가 |
 한명희 수필가 |
 박얼서 시인 |
 조성설 시인 |
 김학 수필가 |
 박일동 시인 |
 양봉선 동화인 |
 김소해 시인 |
 양승본 소설가 |
 예박시원 시인 |
 신종현 시인 |
 한석산 시인 |
 이상조 시인 |
 김태희 시인 |
 김기수 시인 |
 민다선 시인 |
 강영진 시인 |
 송병훈 시인 |
 이옥천 시인 |
 윤행원 수필가 |
 강지혜 시인 |
 홍갑선 시인 |
 민문자 시인 |
 장성자 시인 |
 유현상 동시인 |
 이기은 시인 |
 류준식 시인 |
 유순예 시인 |
 오낙율 시인 |
 김정조 작가 |
 김사빈 시인 |
 이미선 수필가 |
 김순녀 소설가 |
 천동암 시인 |
 안행덕 시인 |
 천향미 시인 |
 고선자 시인 |
 심재기 시인 |
 심재칠 시인 |
 윤이현 동시인 |
 안은순 소설가 |
 이윤상 수필가 |
 정영숙 시인 |
 최택만 작가 |
 정목일 수필가 |
 조성 수필가 |
 최해필 시인 |
 김달호 작가 |
 김주선 소설가 |
 조성원 수필가 |
 조춘숙 수필가 |
 김은자 시인 |
 김승섭 소설가 |
 하옥이 시인 |
 조은길 수필가 |
 전덕기 시인 |
 엄기원 동시인 |
 이효녕 시인 |
 쾨펠연숙 시인 |
 송귀영 시인 |
 정호완 작가 |
 강옥희 시인 |
 김흥열 시인 |
 박인애 시인 |
 이자야 수필가 |
 최선 시인 |
 박신환 목사 |
 최남용 소설가 |
 박순철 수필가 |
 류일석 작가 |
 신혜경 시인 |
 김춘경 시인 |
 김한석 소설가 |
 금사랑 시인 |
 김창수 작가 |
 가람 시인 |
 안정애 소설가 |
 김근이 시인 |
 홍윤표 시인 |
 곽상철 시인 |
 함미자 시인 |
 김창현 수필가 |
 정민시 시인 |
 이혜우 시인 |
 조은재 소설가 |
 이경구 수필가 |
 최광윤 소설가 |
 최태준 수필가 |
 김진환 시인 |
 설동필 시인 |
 권오정 시인 |
 이성미 시인 |
 이향아 시인 |
 최옥순국정 |
 구자운 시인 |
 노유섭 작가 |
 하지연 시인 |
 이찬용 시인 |
 이병두 시인 |
 김연하 시인 |
 이은집 소설가 |
 조윤주 시인 |
 전홍구 시인 |
 이길옥 시인 |
 나광호 시인 |
 이흥우 시인 |
 이승원 시인 |
 표연분 시인 |
 박성락 시인 |
 박종문 시인 |
 박선자 수필가 |
 김계식 시인 |
 홍사권 작가 |
 김석규 시인 |
 서정호 목사 |
 나석중 시인 |
 최대락 시인 |
 임춘식 시인 |
 민봉기 소설가 |
 이정화 시인 |
 피덕희 시인 |
 이월성 소설가 |
 오길순 수필가 |
 전성규 작가 |
 민수식 작가 |
 김병환 시인 |
 김은자 수필가 |
 최원현 수필가 |
 류금선 시인 |
 임선자 시인 |
 김종길 수필가 |
 한병옥 시인 |
 김광수 소설가 |
 나창호 수필가 |
 설대명 시인 |
 김후곤 수필가 |
 권창순 동시인 |
 박찬현 시인 |
 박종길 시인 |
 이상윤 시인 |
 김규화 시인 |
 최이인 시인 |
 김국이 시인 |
 박창호 시인 |
 이대우 작가 |
 배수자 시인 |
 윤준경 시인 |
 여정건 소설가 |
 최정숙 시인 |
 박영래 소설가 |
 이창원 시인 |
 채영선 수필가 |
 김삼식 소설가 |
 송봉현 수필가 |
 신주원 시인 |
 이해숙 수필가 |
 황숙 시인 |
 고산지 시인 |
 엄원용 시인 |
 이금례 수필가 |
 박문자 수필가 |
 김상원 소설가 |
 안형식 소설가 |
 이명림 시인 |
 박순옥 소설가 |
 박용신 시인 |
 홍회정 시인 |
 이양우 시인 |
 하태수 시인 |
 구양근 수필가 |
 노중하 시인 |
 예원호 수필가 |
 옥창열 시인 |
 추일명 시인 |
 박명환 시인 |
 조선윤 시인 |
 김형애 시인 |
 김안로 시인 |
 고경자 수필가 |
 김현용 소설가 |
 정태운 시인 |
 김홍락 시인 |
 김숙경 시인 |
 이용부 시인 |
 류창섭 시인 |
 이성남 시인 |
 고창표 시인 |
 권영소 시인 |
 이태순 수필가 |
 이학순 시인 |
 백남렬 시인 |
 신승희 시인 |
 임성일 수필가 |
 오금자 시인 |
 이희정 시인 |
 서성혜 수필가 |
 강한희 수필가 |
 이선숙 시인 |
 김태헌 소설가 |
 김영섭 시인 |
 권창순 작가 |
 고산지 시인 |
 강제실 시인 |
 김명숙 시인 |
 석진 시인 |
 이철우 시인 |
 김여울 작가 |
 이종신 수필가 |
 고천석 소설가 |
 장일홍 희곡인 |
 이승 시인 |
 이정승 소설가 |
 이영례 시인 |
 심의섭 수필가 |
 박근수 시인 |
 이상진 시인 |
 조윤현 시인 |
 고순옥 시인 |
 김진항 작가 |
 최정순 시인 |
 안종관 시인 |
 강인숙 시인 |
 정해옥 시인 |
 장순혁 시인 |
 김태수 시인 |
 강정수 시인 |
 조환국 시인 |
 김경자 시인 |
 최동현 시인 |
 김주관 시인 |
 이진우 작가 |
 한화숙 시인 |
 최병구 수필가 |
 고창희 시인 |
 성환구 시인 |
 송석인 시인 |
 정태호 시인 |
 최면열 시인 |
 홍당무 작가 |
 김기산 시인 |
 윤진원 시인 |
 방우달 시인 |
 김종선 시인 |
 김행숙 시인 |
 염시열 작가 |
 이일환 수필가 |
 장동석 시인 |
 조진태 수필가 |
 문경자 시인 |
 송재철 시인 |
 박병문 시인 |
 손정애 시인 |
 이애옥 작가 |
 박희자 시인 |
 김복희 시인 |
 주채혁 작가 |
 정지윤 시인 |
 신보현 작가 |
 이영구 시인 |
 곽연수 시인 |
 조육현 시인 |
 김종보 작가 |
 유혜자 수필가 |
 방경희 시인 |
 구순자 시인 |
 남을선 시인 |
 곽순조 수필가 |
 이용택 시인 |
 김창민 시인 |
 이정용 시인 |
 김도성 소설가 |
 서경범 시인 |
 전호영 시인 |
 남희우 수필가 |
 홍종음 시인 |
 안종원 시인 |
 김석규 수필가 |
 한정남 수필가 |
 황용섭 시인 |
 전미정 시인 |
 홍건자 시인 |
 조세증 소설가 |
 이미애 시인 |
 정연우 동시인 |
 임방원 시인 |
 박연희 시인 |
 정연국 시인 |
 진을주 시인 |
 김보현 시인 |
 이혜영 시인 |
 전종문 시인 |
 김경애 시인 |
※ 한국문학방송에서 제작된 전자책은 모두 교보문고 등 일반 서점에서도 판매되고 있습니다.
|
상호: 한국문학방송 / 대표자: 안재동 / 사업자등록번호: 109-08-76384
통신판매업신고: 제2010-서울구로-0186호 / 출판신고번호 제12-610호 연락처: ☎ (H.P)010-5151-1482 | poet@hanmail.net 사이버몰이용약관: 회원약관 준용 ()
|
|
|
|
소재지: 서울시 구로구 고척동 73-3, 일이삼타운 2동 2층 252호 (구로소방서 건너편) ⊙우편안내 (주의) ▶책자는 이곳에서 접수가 안됩니다.
발송전 반드시 전화나 메일로 먼저 연락을 바랍니다
|
|
|
|
| |
| |
|
|
|